의미(毅味) 조(祖)에 대하여

HOME > 의미(毅味) 조(祖)에 대하여

-임종필

그간 말썽이 있었던「의미(毅味)」조(祖)에 대하여 필자의 견해를 말씀 올려 볼까 합니다.

필자는 어렸을 때 조부님께서 8림(八林)과「의(毅)자 미(味) . 만(蔓)자 . 진(珍)자 . 간(幹)자……」하고 우리 선산임씨의 상계 대 휘(諱)를 마치 역대왕명을 외우듯 배우고 익혀서 아무 의심 없이 당연한 사실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문중에 출입하게 된 후「의미」조에 대한 논의가 있음을 알게 되었고 소아산(小牙山)의 휘 종(宗) 비문을 찬(撰)하고 을해보(1995)의「문헌편」에 관계하게 됨에 따라 여러 가지 공부를 하게 되었으며, 갑론을박 여러 번의 종론(宗論)을 거쳐 금번 을해보에서는「의미」조를「설(說)」로 하기로 결론지었음은 아시는 바와 같습니다.

 

- 구태여「설」이라고 한 것은 차후 만일 정확한 근거자료가 나온다면 언제든지 정사(正史)로 환원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죄송합니다마는 다시 한 번「의미」조의 설정이 부적절하다는 이유를 말씀드린다면,

 

① 우리 관(貫)이「이중득관(二重得貫)」이라는 설명하기 어려운 모순이 생긴다는 점

② 그 설정(5회『병진보』1916)의 배경인 소위「팔림설(八林說)」이 논의 당초부터 이미 붕괴되었다는 점

③ 그 설정의 근거라는 문건이 애매하고 불합리한 점

④ 자칫하면「선산관의 유지보전」이 어려워 질수 있다는 점(실관 할 수 있는 위기)등입니다.

 

이를 차례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주지하시는 바와 같이 우리「善山林氏」는 이제까지「신라 말에 양저(良貯)의 자손이 선산(즉 평성<坪城>)지방에 투거(投居)」됨으로 인하여 그 후손들이「선산임씨」로 칭관(稱貫)하게 되었다고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고려 말에「의미(毅味)」가 갑자기 새로 나타나서,「선산군(善山君)」에 봉해졌기 때문에 우리가「선산」을 득관 했다고 주장한다면

 

어느 쪽이 진정한 득관설이라는 말입니까.

『병진보』(1916 일제강점기) 이전의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의미」를 알고「선산임씨」를 칭하였으며, 충헌공(백령)·석천공(억령)이「의미」를 알고 시권(試券)에「선산인」이라고 썼다는 말입니까.그 분들이 쓴「선산관」은 가상이나 오류라는 말입니까.

아이들, 후세들에게 어떻게 설명하며 어떻게 가르치란 말입니까.

 

「의미(毅味)」를「선산군(善山君)」이라고 하여「새 관조(貫祖)」로 주장함은

우리 관의 유래를 둘로 갈라놓는「이중득관설」을 의미하며

후손에게는 물론 대외적으로도 설명하기 곤란한 딜레마에 빠진다는 것입니다.

 

편의적이고 일시적인 미봉책은 이와 같이 반드시 허점을 드러내는 것입니다.여기서 우리 족보에「상계대(上系代) 및 의미(毅味)조의 수용 경위」를 보고자 합니다. 우리 선림보(善林譜)에서는 1회보부터 4회보까지 <양저(良貯)공을 시조로 만(蔓)공을 중시조>로 하고 두 분의 사이는 <실전이(失傳而) 부지기대(不知幾代)>라 하여 상계대를 공백으로 하여 왔습니다.

 

다만, 제3회『을묘보』에서「양저」다음으로「무(珷).우(祐)」를 재서(載書)하였다가 삭제하는 등 일시혼란을 겪는 것을 보아 아마 그때까지는 상계대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5회『병진보』(1916)에 이르러,

① 상계대를 <온(蘊)을 시조로 팔급(八及)을 중시조로 삽입하고 양저(良貯)를 2세 - 만(蔓)을 12세로 강등 계대(繼代)하여 일계(一系) 체계로 재정립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평택임씨의 1회『갑신보』(1764-우리 병술보보다 2년 빠름)에서 이미 상계대(팔급~언수)가 일계로 재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의 5회 병진보가 거의 그대로 수용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자세한 것은 후술 임용원의 논고문 참조)

 

②「언수(彦脩)」의 자(子)로 <성(成)·제(齊)·견(堅)·세(世)·선(先)·자(自)·의(毅)·계(季)>의 8미(八味)를 설정하였는데 그 제7자를「의미」라 하여「선산임씨의 관조」라고 한 것입니다.

 

결국 우리 선산 임씨는 평택임씨의 산하(傘下)에 들어간 결과가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상계의 체계화에 대해서는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당시 조선총독부에서는 무단정치를 버리고 소위 문화정책의 일환이라 하여 족보의 편찬사업을 장려하였고 민간은 민간대로 <뭉쳐야 산다>고 하는 독립·통합의 차원에서 성관의 통합 즉 이제까지의 분파·분적으로 부터 각 파의 합파

 

즉,「환적(還籍)운동」이 일어났던 것입니다.

이때 금속활자체의 신보가 다수 인쇄 발간되었으며 이것들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이들 책에는 놀랍게도「鍾路警察署印」(종로경찰서인)이 찍혀 있습니다. 즉 우리의 목적과는 달리 일제는 <조선인사찰용>으로 족보의 통합 발간을 장려하였던 것입니다.(출판물 검열을 통하여) 이리하여 평택임씨 중 성미(成味)파인 나주(羅州)향선재(享先齋)파(평택임씨의 대본산격)의 강력한 주도아래 서울에서 전 임씨가 모임을 갖고(단 나주임씨는 불참) 위와 같이 8미(八味)를 정했다고 합니다.

 

이때 우리 善林은 그 세가 약하여 일곱번째(제7자)로 배정되었다고 합니다. 8미(八味)는 8림설(八林說)에 입각한 것으로, 원래「八」자(字)는 그 끝이 갈라져 무한대로 커지고 또 둘로 나누어지는 숫자(짝수-우수偶數)중에서 가장 큰 숫자이므로「8림」이라 하면「모든 임씨가 다 포함되고 무한히 퍼진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이것은「八」자를 좋아하는 중국인의 풍습을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8림(八林)」즉「8미(八味)」는, 임병운(林炳云)씨(『임씨요람』의 저자)의 증언에 의하면 그 모임은 당초부터 무너졌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우선「선미(先味)」는 그 부(父)가 역사기록이 뚜렷하여(순창관조 임중연)「언수」의 자가 될수 없고「자미(自味), 의미(毅味)」에 대해서도 적어도 <중시조>라고 하는 분이 해당 관 구보에 전연 보이지 않는 것은 이해하기 곤란하다는 것이었다고 합니다.(季味는 당초부터 季美로 味자가 될수 없음-임용원 주)

 

「의미(毅味)」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이와 같이「8미(八味)의 일원」으로서「의미」가 팔미자체가 붕괴된 마당에, 그대로 존속한다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일이라고 생각되며

또한 전체 임씨를 망라한다는 뜻에서 인지「의미」의 경우는「봉 선산군·진천군」으로 하여 진천임씨의 관조까지 겸하고 있는 것입니다.

시기적으로도 고려말기에는 아직「선산」의 지명이 생기기 전이므로 역사적으로「선산군」에 봉해질 수 없고, 적어도「선산·진천」의 양군(兩君)에 봉해졌다면 공신(功臣)이거나 상당한 고위직에 있었음직 한데 그 역사기록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양군으로 봉한다는 것 자체가 이상한 일)

④ 이와 같이「진천군」에도 봉해져 그 관조까지 겸하게 되다보니 그 손자에 「임희(林曦)」를 두게 되었습니다.( 예-선산임씨『정사보』) 그러나 이분은 왕건을 도와 고려를 개국한 공신(건국시 병부령)으로 고려 2대 혜종(912~945)의 장인이 되는 흥화부원군(興化府院君)이므로「의미」보다 4~5백 년 전의 분이며 진짜 진천관(鎭川貫)의 시조인 것입니다. 관조를 마구잡이로 배분하다보니 500년 앞선 선인(先人)을 그 손자로 둔갑시키는 등(시간개념이 없는) 웃지 못 할 일들이 벌어지게 된 것입니다.

⑤ 이상에서 소위「8림의 구성(구상)」이 얼마나 인위적이고 조잡하며 허구였다는 것을 아셨을 것입니다. 즉 역사를 순리에 따라 정리한 것이 아니라 어떠한 목적아래 의도적으로 조작하였다는 냄새가 물씬하다는 것입니다.

 

다음에「의미(毅味)」조의 출전(出典) 근거를 살피고자 합니다.

상계대와「의미」를 처음으로 재서(載書)한『병진보』(1916)에서는 그 출전 근거를 전적으로「석천선생수록가승(石川先生手錄家乘)」에 돌리고 있습니다. 즉,『병진보』발문(跋文)(임영한 발)에서는

강진(康津) 백양리(白羊里) 종인(宗人)으로부터 석천선생이 수록(手錄)한 가승(家乘)을 얻어 보니

시조는 온(蘊), 중조는 팔급(八及).언수(彦脩)에 8군(君)이 있어 그중 선산군 의미(毅味)가 석천공의 8세조가 된다는 점.

석천선생은 덕업과 문장이 훌륭하므로 착오가 없을 것이니 이로서 조계(祖系)의 계통을 바로 하였다는 주장입니다.(『을해보』41쪽 참조 )

 

필자가 백방으로 수소문하여 본 결과「강진 백양리 종인」과 그들이 가지고 있는「석천선생 수록가승」을 찾게 되었습니다. 강진 백양리는 현 강진군 병영면(兵營面) 삭양리(朔羊里)로서 장흥군에 인접한 작은 마을입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삭둔리(朔屯里)와 백양리(白羊里)가 합쳐진 것입니다. 이 마을에 우정(遇貞)의 직계 손(8세손) 승서(昇瑞)가 입촌하여(묘가 장흥에 있음), 그 후손들이 장흥·강진(병영) 일대에 세거하고 있는데 이 분들이 바로 그「백양리 종인」들인 것입니다.

 

한편 종중 어느 분으로부터『선산임씨세계단(善山林氏世系單)(경자庚子)』(1900) 1권을 입수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병진보』에서 말하는「강진백양리 종인들의 가승」이라는 것을 그 후에 알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세계단(경자)』에는(그 표지와 내용 일부 - 별첨참조)

시조 온(蘊)·중시조 팔급(八及)·2세 양저(良貯)…으로 상계대가 수직으로 명료하게 재서(載書)되어 있고

10세 언수(彦脩)에 8자가 있어 그 제7자인 의미(毅味)가 11세 선산군(善山君)(여기에는 진천군의 병기가 없음)으로 되어있고

발문에 <석천공 이상과 이하의 호적(戶籍)과 세승(世乘)이 강진 백양리 족인가(族人家)에서 현발(現發)하여 3백년 만에 비로소 세승을 알게 되었다.>고 발(跋)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세계단』의 손록(孫錄)편에, 억령(億齡)의 장자인 찬(澯)은 「무후(無后)」인데 그전 족보에는 전연 볼 수 없었던 <극성(克星)·극진(克辰)·극렬(克列)> 세분을 마치 실존(實存)한 것처럼 새로 설정 삽입하여 놓았고, (이것은 병술·신묘·병진·병신의 각 족보를 비교해보면 금새 알 수 있습니다.)

그『세계단』의 말미에「후록(後錄)」이라고 쓴 쪽지 1장을 덧붙여서 위의 「극진(克辰)」(새로 창조, 첨가한 분)의 후계로, 우정(遇貞)계인 <영수(永壽)…승서(昇瑞)>를 그대로 이기(移記)해 놓았습니다. 즉,「억령(億齡) - 찬(澯) - 극진(克辰) - 영수(永壽) - 흥경(興慶) - 성휘(成輝) - 봉서(鳳瑞)

승서(昇瑞)」로 연결하여 석천공의 직계 후손인 것처럼 조작해 놓은 것입니다.「극진」은 가공인물이며,「영수…승서」가 백양리 거주 우정(遇貞) 계하의 후손들입니다.

⑥ 그러나 이분들(「영수…승서」) 즉 백양리 종인들이 그 후의 족보에도 계속「우정(遇貞)의 직손(直孫)」으로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은 당시의 병진보는 물론 역대의 족보를 보면 그냥 알 수 있습니다. 즉, 이 세계단에「후록」1쪽을 슬쩍 붙여서 그렇게 조작한 것입니다.

 

또한 흥미로운 것은「우정」후계의「극진(克震)」을 글자 하나를 고쳐서 「극진(克辰)」으로 하고 있는 점입니다.

-오래전입니다만 서울의 선산임씨 친목모임인 소림회(素林會)모임에서 회원인 임도상(林道相)씨(강진 삭망리 출신.지금은 고인)에게 어느 파인가 물었더니 어렸을 적에는「석천공 후손」이라고 배웠는데 지금 족보를 보니「우정 손」이더라…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후손들에게까지 이와 같이 실제인 것처럼 오도하고 있으니 놀랍기만 합니다.

 

이상에서 살펴보듯이『선산임씨세계단(善山林氏世系單)(경자-1900)』은

『병진보』(1916)의 발문에서 말하는「강진 백양리 종인들이 소지한 가승」이라는 것이 확실하며

또한, <석천선생이 수기(手記)하신 가승이므로 착오가 없을 것이니 믿을지어다>하고, <병진보에 상계대와 의미(毅味)를 수용하게 된 확실한 근거 즉 출전(出典)>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어떤 연유로 그때까지 상계대를 몰랐으며, 어째서「의미(毅味)」가 새로이 관조(貫祖)가 되었는지 구체적인 설명이 하나도 없이 오직 그 근거를 석천선생에게만 돌리고 있는 것이며

이를 증(證)한다고 벽지에 따로 떨어져 세거하고 있는 강진 백양리 종인들(우정의 손)을 우정(遇貞)손(孫)에서 떼어내어 억령(億齡)손(孫)으로 둔갑시켜 그 출전 근거를 조작한 선인들의 처사는 참으로 놀랍고도 해괴한 일이 아닐 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이외에도『둔암선생집(遯庵先生集)(임천령선생문집)』(1916년 간-임의식 소장)(둔암은 천령공의 아호)에서 천령선생의 행장에「비조(鼻祖) 팔급(八及)…양저(良貯)…선산관 의미(毅味)…」의 기록이 있음도 아울러 알려드립니다. 행장의 이 상계대기록은『팽성임씨(부안·울릉파)보』와 거의 일치하나 하대에 가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 행장에서도「의미(毅味)를 선산관의 관조(貫祖)」라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기록이 같은 해 발간된『병진보』(1916)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끝으로 전국 10대성의 하나인 林氏(2000년 통계자료-762,767명으로 10위의 인구수)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는 평택·나주임씨의 세력 비교 및 선산임씨의 위상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조선조 林氏의 문과급제자 총 124인중「나주」가 51인(41.1%)인데 비하여「평택」은 18인(14.5%)의 절대적 열세라는 점-「선산」은 6인으로서 나주·평택에 이어 당당한 제3위에 위치

이분들의 최종관직(당상관이상만)을 비교하면, 「나주」가 18인인데 비하여「평택」은 11인(단 국조방목에 없는 분을 빼면 5인)으로 역시 열세이며

더군다나 그 직위에 있어 「나주」는 우의정 1인, 판서 4인 등인데,「평택」은 참판·관찰사에 머물고 있습니다.

한편 각종 인명사전을 보아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평택임씨의 열세가 숫자로 나타납니다.

 

평택임씨는 이와 같은 열세의 초조함을 메꾸기 위한 수단(?)인지는 몰라도, 선산임씨를 비롯한 일부 임씨의 고명한 인사를 자기들의 실세로 마구 편입 내지 인용하고 있습니다.

중앙일보 발간(1989.2.28 제1판)의『성씨의 고향 - 한국성씨대백과』를 보면 우리의 억령·백령 조가「평택임씨」편「씨족사의 개요」에 올라 있습니다. 그들이 자기 선조라고 버젓이 올린 것입니다.(임천임씨의 벌열에는 구령(2등공신)·억령(호당)이 자기들 선조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 외 각종 일간지의「성씨소개 씨리즈」의“평택임씨편”에 의례히 억령·백령 두 분이 자기네 선조라고 게재되고 있습니다. 우리 조상을 자기들 선조라고 받들고 있으니 얼마나 고마운 일이겠습니까마는, 여기서 우리가 유의해야 할 점은 이때「선산관적(善山貫籍)」을 송두리째 빼버린다는 사실입니다.

대한민국족보학회 임씨문헌편찬위원회에서 1988. 12. 20 발간한『임씨숭조문헌보감(林氏崇祖文獻譜鑑)』이라는 책자에 보면 군소관향들은 빠짐없이 있으면서도 선산임씨는 아예 빼버리고 없습니다. 그러고는 평택임씨 손록에 의미(毅味) 계하로 만(蔓) - 진(珍) - 간(幹) - 득무(得茂)를 올려놓고 있습니다.

 

필자는 여기서 그들의 세 다툼의 틈바구니 속에서 자칫 조상과 실관(失貫)(?)의 위기를 기우(杞憂)해 봅니다. 가령 우리 관을 뺐다고 항의했을 때 <언수(彦脩)의 제7자인데 아버지의 관(貫)을 따른 것이 무슨 잘못이냐> 한다면 우리는 할 말이 없는 것입니다.(?) 이것이「의미(毅味)」를 우리 善林의 중시조(관조)로 곧바로 수용하기 어려운 점이며「설(說)」로 남기게 된 마지막 이유인 것입니다.

 

그러나 최근의 발굴 자료인 김종직의『이존록』기록에 고려전기의 선산호장「임은영(林銀永)」이 나오고 고려 말에는 김종직의 부 김숙자의 족숙으로 스승인 임재(林載)가 나옵니다.『고려사』에도 공민왕 때「임영화(林永和)·보검(宝劍)」형제의 이야기가 나오며,『일선지』에도 고려 때「임자후(林自栩)」라는 인물의 기록이 있음으로 볼 때 임만(林蔓) 이전의 선산임씨 인물들의 존재가 명백한 이상 임의미(林毅味)조 이야기는 이제 설로서도 그 뜻이 없다할 것입니다.(왜냐하면 가공된 설이 틀림없기 때문입니다.)

 

pp016.jpg

 

-임종필

그간 말썽이 있었던「의미(毅味)」조(祖)에 대하여 필자의 견해를 말씀 올려 볼까 합니다.

필자는 어렸을 때 조부님께서 8림(八林)과「의(毅)자 미(味) . 만(蔓)자 . 진(珍)자 . 간(幹)자……」하고 우리 선산임씨의 상계 대 휘(諱)를 마치 역대왕명을 외우듯 배우고 익혀서 아무 의심 없이 당연한 사실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문중에 출입하게 된 후「의미」조에 대한 논의가 있음을 알게 되었고 소아산(小牙山)의 휘 종(宗) 비문을 찬(撰)하고 을해보(1995)의「문헌편」에 관계하게 됨에 따라 여러 가지 공부를 하게 되었으며, 갑론을박 여러 번의 종론(宗論)을 거쳐 금번 을해보에서는「의미」조를「설(說)」로 하기로 결론지었음은 아시는 바와 같습니다.

 

- 구태여「설」이라고 한 것은 차후 만일 정확한 근거자료가 나온다면 언제든지 정사(正史)로 환원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죄송합니다마는 다시 한 번「의미」조의 설정이 부적절하다는 이유를 말씀드린다면,

 

① 우리 관(貫)이「이중득관(二重得貫)」이라는 설명하기 어려운 모순이 생긴다는 점

② 그 설정(5회『병진보』1916)의 배경인 소위「팔림설(八林說)」이 논의 당초부터 이미 붕괴되었다는 점

③ 그 설정의 근거라는 문건이 애매하고 불합리한 점

④ 자칫하면「선산관의 유지보전」이 어려워 질수 있다는 점(실관 할 수 있는 위기)등입니다.

 

이를 차례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주지하시는 바와 같이 우리「善山林氏」는 이제까지「신라 말에 양저(良貯)의 자손이 선산(즉 평성<坪城>)지방에 투거(投居)」됨으로 인하여 그 후손들이「선산임씨」로 칭관(稱貫)하게 되었다고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고려 말에「의미(毅味)」가 갑자기 새로 나타나서,「선산군(善山君)」에 봉해졌기 때문에 우리가「선산」을 득관 했다고 주장한다면

 

어느 쪽이 진정한 득관설이라는 말입니까.

『병진보』(1916 일제강점기) 이전의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의미」를 알고「선산임씨」를 칭하였으며, 충헌공(백령)·석천공(억령)이「의미」를 알고 시권(試券)에「선산인」이라고 썼다는 말입니까.그 분들이 쓴「선산관」은 가상이나 오류라는 말입니까.

아이들, 후세들에게 어떻게 설명하며 어떻게 가르치란 말입니까.

 

「의미(毅味)」를「선산군(善山君)」이라고 하여「새 관조(貫祖)」로 주장함은

우리 관의 유래를 둘로 갈라놓는「이중득관설」을 의미하며

후손에게는 물론 대외적으로도 설명하기 곤란한 딜레마에 빠진다는 것입니다.

 

편의적이고 일시적인 미봉책은 이와 같이 반드시 허점을 드러내는 것입니다.여기서 우리 족보에「상계대(上系代) 및 의미(毅味)조의 수용 경위」를 보고자 합니다. 우리 선림보(善林譜)에서는 1회보부터 4회보까지 <양저(良貯)공을 시조로 만(蔓)공을 중시조>로 하고 두 분의 사이는 <실전이(失傳而) 부지기대(不知幾代)>라 하여 상계대를 공백으로 하여 왔습니다.

 

다만, 제3회『을묘보』에서「양저」다음으로「무(珷).우(祐)」를 재서(載書)하였다가 삭제하는 등 일시혼란을 겪는 것을 보아 아마 그때까지는 상계대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5회『병진보』(1916)에 이르러,

① 상계대를 <온(蘊)을 시조로 팔급(八及)을 중시조로 삽입하고 양저(良貯)를 2세 - 만(蔓)을 12세로 강등 계대(繼代)하여 일계(一系) 체계로 재정립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평택임씨의 1회『갑신보』(1764-우리 병술보보다 2년 빠름)에서 이미 상계대(팔급~언수)가 일계로 재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의 5회 병진보가 거의 그대로 수용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자세한 것은 후술 임용원의 논고문 참조)

 

②「언수(彦脩)」의 자(子)로 <성(成)·제(齊)·견(堅)·세(世)·선(先)·자(自)·의(毅)·계(季)>의 8미(八味)를 설정하였는데 그 제7자를「의미」라 하여「선산임씨의 관조」라고 한 것입니다.

 

결국 우리 선산 임씨는 평택임씨의 산하(傘下)에 들어간 결과가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상계의 체계화에 대해서는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당시 조선총독부에서는 무단정치를 버리고 소위 문화정책의 일환이라 하여 족보의 편찬사업을 장려하였고 민간은 민간대로 <뭉쳐야 산다>고 하는 독립·통합의 차원에서 성관의 통합 즉 이제까지의 분파·분적으로 부터 각 파의 합파

 

즉,「환적(還籍)운동」이 일어났던 것입니다.

이때 금속활자체의 신보가 다수 인쇄 발간되었으며 이것들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이들 책에는 놀랍게도「鍾路警察署印」(종로경찰서인)이 찍혀 있습니다. 즉 우리의 목적과는 달리 일제는 <조선인사찰용>으로 족보의 통합 발간을 장려하였던 것입니다.(출판물 검열을 통하여) 이리하여 평택임씨 중 성미(成味)파인 나주(羅州)향선재(享先齋)파(평택임씨의 대본산격)의 강력한 주도아래 서울에서 전 임씨가 모임을 갖고(단 나주임씨는 불참) 위와 같이 8미(八味)를 정했다고 합니다.

 

이때 우리 善林은 그 세가 약하여 일곱번째(제7자)로 배정되었다고 합니다. 8미(八味)는 8림설(八林說)에 입각한 것으로, 원래「八」자(字)는 그 끝이 갈라져 무한대로 커지고 또 둘로 나누어지는 숫자(짝수-우수偶數)중에서 가장 큰 숫자이므로「8림」이라 하면「모든 임씨가 다 포함되고 무한히 퍼진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이것은「八」자를 좋아하는 중국인의 풍습을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8림(八林)」즉「8미(八味)」는, 임병운(林炳云)씨(『임씨요람』의 저자)의 증언에 의하면 그 모임은 당초부터 무너졌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우선「선미(先味)」는 그 부(父)가 역사기록이 뚜렷하여(순창관조 임중연)「언수」의 자가 될수 없고「자미(自味), 의미(毅味)」에 대해서도 적어도 <중시조>라고 하는 분이 해당 관 구보에 전연 보이지 않는 것은 이해하기 곤란하다는 것이었다고 합니다.(季味는 당초부터 季美로 味자가 될수 없음-임용원 주)

 

「의미(毅味)」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이와 같이「8미(八味)의 일원」으로서「의미」가 팔미자체가 붕괴된 마당에, 그대로 존속한다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일이라고 생각되며

또한 전체 임씨를 망라한다는 뜻에서 인지「의미」의 경우는「봉 선산군·진천군」으로 하여 진천임씨의 관조까지 겸하고 있는 것입니다.

시기적으로도 고려말기에는 아직「선산」의 지명이 생기기 전이므로 역사적으로「선산군」에 봉해질 수 없고, 적어도「선산·진천」의 양군(兩君)에 봉해졌다면 공신(功臣)이거나 상당한 고위직에 있었음직 한데 그 역사기록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양군으로 봉한다는 것 자체가 이상한 일)

④ 이와 같이「진천군」에도 봉해져 그 관조까지 겸하게 되다보니 그 손자에 「임희(林曦)」를 두게 되었습니다.( 예-선산임씨『정사보』) 그러나 이분은 왕건을 도와 고려를 개국한 공신(건국시 병부령)으로 고려 2대 혜종(912~945)의 장인이 되는 흥화부원군(興化府院君)이므로「의미」보다 4~5백 년 전의 분이며 진짜 진천관(鎭川貫)의 시조인 것입니다. 관조를 마구잡이로 배분하다보니 500년 앞선 선인(先人)을 그 손자로 둔갑시키는 등(시간개념이 없는) 웃지 못 할 일들이 벌어지게 된 것입니다.

⑤ 이상에서 소위「8림의 구성(구상)」이 얼마나 인위적이고 조잡하며 허구였다는 것을 아셨을 것입니다. 즉 역사를 순리에 따라 정리한 것이 아니라 어떠한 목적아래 의도적으로 조작하였다는 냄새가 물씬하다는 것입니다.

 

다음에「의미(毅味)」조의 출전(出典) 근거를 살피고자 합니다.

상계대와「의미」를 처음으로 재서(載書)한『병진보』(1916)에서는 그 출전 근거를 전적으로「석천선생수록가승(石川先生手錄家乘)」에 돌리고 있습니다. 즉,『병진보』발문(跋文)(임영한 발)에서는

강진(康津) 백양리(白羊里) 종인(宗人)으로부터 석천선생이 수록(手錄)한 가승(家乘)을 얻어 보니

시조는 온(蘊), 중조는 팔급(八及).언수(彦脩)에 8군(君)이 있어 그중 선산군 의미(毅味)가 석천공의 8세조가 된다는 점.

석천선생은 덕업과 문장이 훌륭하므로 착오가 없을 것이니 이로서 조계(祖系)의 계통을 바로 하였다는 주장입니다.(『을해보』41쪽 참조 )

 

필자가 백방으로 수소문하여 본 결과「강진 백양리 종인」과 그들이 가지고 있는「석천선생 수록가승」을 찾게 되었습니다. 강진 백양리는 현 강진군 병영면(兵營面) 삭양리(朔羊里)로서 장흥군에 인접한 작은 마을입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삭둔리(朔屯里)와 백양리(白羊里)가 합쳐진 것입니다. 이 마을에 우정(遇貞)의 직계 손(8세손) 승서(昇瑞)가 입촌하여(묘가 장흥에 있음), 그 후손들이 장흥·강진(병영) 일대에 세거하고 있는데 이 분들이 바로 그「백양리 종인」들인 것입니다.

 

한편 종중 어느 분으로부터『선산임씨세계단(善山林氏世系單)(경자庚子)』(1900) 1권을 입수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병진보』에서 말하는「강진백양리 종인들의 가승」이라는 것을 그 후에 알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세계단(경자)』에는(그 표지와 내용 일부 - 별첨참조)

시조 온(蘊)·중시조 팔급(八及)·2세 양저(良貯)…으로 상계대가 수직으로 명료하게 재서(載書)되어 있고

10세 언수(彦脩)에 8자가 있어 그 제7자인 의미(毅味)가 11세 선산군(善山君)(여기에는 진천군의 병기가 없음)으로 되어있고

발문에 <석천공 이상과 이하의 호적(戶籍)과 세승(世乘)이 강진 백양리 족인가(族人家)에서 현발(現發)하여 3백년 만에 비로소 세승을 알게 되었다.>고 발(跋)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세계단』의 손록(孫錄)편에, 억령(億齡)의 장자인 찬(澯)은 「무후(無后)」인데 그전 족보에는 전연 볼 수 없었던 <극성(克星)·극진(克辰)·극렬(克列)> 세분을 마치 실존(實存)한 것처럼 새로 설정 삽입하여 놓았고, (이것은 병술·신묘·병진·병신의 각 족보를 비교해보면 금새 알 수 있습니다.)

그『세계단』의 말미에「후록(後錄)」이라고 쓴 쪽지 1장을 덧붙여서 위의 「극진(克辰)」(새로 창조, 첨가한 분)의 후계로, 우정(遇貞)계인 <영수(永壽)…승서(昇瑞)>를 그대로 이기(移記)해 놓았습니다. 즉,「억령(億齡) - 찬(澯) - 극진(克辰) - 영수(永壽) - 흥경(興慶) - 성휘(成輝) - 봉서(鳳瑞)

승서(昇瑞)」로 연결하여 석천공의 직계 후손인 것처럼 조작해 놓은 것입니다.「극진」은 가공인물이며,「영수…승서」가 백양리 거주 우정(遇貞) 계하의 후손들입니다.

⑥ 그러나 이분들(「영수…승서」) 즉 백양리 종인들이 그 후의 족보에도 계속「우정(遇貞)의 직손(直孫)」으로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은 당시의 병진보는 물론 역대의 족보를 보면 그냥 알 수 있습니다. 즉, 이 세계단에「후록」1쪽을 슬쩍 붙여서 그렇게 조작한 것입니다.

 

또한 흥미로운 것은「우정」후계의「극진(克震)」을 글자 하나를 고쳐서 「극진(克辰)」으로 하고 있는 점입니다.

-오래전입니다만 서울의 선산임씨 친목모임인 소림회(素林會)모임에서 회원인 임도상(林道相)씨(강진 삭망리 출신.지금은 고인)에게 어느 파인가 물었더니 어렸을 적에는「석천공 후손」이라고 배웠는데 지금 족보를 보니「우정 손」이더라…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후손들에게까지 이와 같이 실제인 것처럼 오도하고 있으니 놀랍기만 합니다.

 

이상에서 살펴보듯이『선산임씨세계단(善山林氏世系單)(경자-1900)』은

『병진보』(1916)의 발문에서 말하는「강진 백양리 종인들이 소지한 가승」이라는 것이 확실하며

또한, <석천선생이 수기(手記)하신 가승이므로 착오가 없을 것이니 믿을지어다>하고, <병진보에 상계대와 의미(毅味)를 수용하게 된 확실한 근거 즉 출전(出典)>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어떤 연유로 그때까지 상계대를 몰랐으며, 어째서「의미(毅味)」가 새로이 관조(貫祖)가 되었는지 구체적인 설명이 하나도 없이 오직 그 근거를 석천선생에게만 돌리고 있는 것이며

이를 증(證)한다고 벽지에 따로 떨어져 세거하고 있는 강진 백양리 종인들(우정의 손)을 우정(遇貞)손(孫)에서 떼어내어 억령(億齡)손(孫)으로 둔갑시켜 그 출전 근거를 조작한 선인들의 처사는 참으로 놀랍고도 해괴한 일이 아닐 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이외에도『둔암선생집(遯庵先生集)(임천령선생문집)』(1916년 간-임의식 소장)(둔암은 천령공의 아호)에서 천령선생의 행장에「비조(鼻祖) 팔급(八及)…양저(良貯)…선산관 의미(毅味)…」의 기록이 있음도 아울러 알려드립니다. 행장의 이 상계대기록은『팽성임씨(부안·울릉파)보』와 거의 일치하나 하대에 가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 행장에서도「의미(毅味)를 선산관의 관조(貫祖)」라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기록이 같은 해 발간된『병진보』(1916)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끝으로 전국 10대성의 하나인 林氏(2000년 통계자료-762,767명으로 10위의 인구수)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는 평택·나주임씨의 세력 비교 및 선산임씨의 위상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조선조 林氏의 문과급제자 총 124인중「나주」가 51인(41.1%)인데 비하여「평택」은 18인(14.5%)의 절대적 열세라는 점-「선산」은 6인으로서 나주·평택에 이어 당당한 제3위에 위치

이분들의 최종관직(당상관이상만)을 비교하면, 「나주」가 18인인데 비하여「평택」은 11인(단 국조방목에 없는 분을 빼면 5인)으로 역시 열세이며

더군다나 그 직위에 있어 「나주」는 우의정 1인, 판서 4인 등인데,「평택」은 참판·관찰사에 머물고 있습니다.

한편 각종 인명사전을 보아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평택임씨의 열세가 숫자로 나타납니다.

 

평택임씨는 이와 같은 열세의 초조함을 메꾸기 위한 수단(?)인지는 몰라도, 선산임씨를 비롯한 일부 임씨의 고명한 인사를 자기들의 실세로 마구 편입 내지 인용하고 있습니다.

중앙일보 발간(1989.2.28 제1판)의『성씨의 고향 - 한국성씨대백과』를 보면 우리의 억령·백령 조가「평택임씨」편「씨족사의 개요」에 올라 있습니다. 그들이 자기 선조라고 버젓이 올린 것입니다.(임천임씨의 벌열에는 구령(2등공신)·억령(호당)이 자기들 선조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 외 각종 일간지의「성씨소개 씨리즈」의“평택임씨편”에 의례히 억령·백령 두 분이 자기네 선조라고 게재되고 있습니다. 우리 조상을 자기들 선조라고 받들고 있으니 얼마나 고마운 일이겠습니까마는, 여기서 우리가 유의해야 할 점은 이때「선산관적(善山貫籍)」을 송두리째 빼버린다는 사실입니다.

대한민국족보학회 임씨문헌편찬위원회에서 1988. 12. 20 발간한『임씨숭조문헌보감(林氏崇祖文獻譜鑑)』이라는 책자에 보면 군소관향들은 빠짐없이 있으면서도 선산임씨는 아예 빼버리고 없습니다. 그러고는 평택임씨 손록에 의미(毅味) 계하로 만(蔓) - 진(珍) - 간(幹) - 득무(得茂)를 올려놓고 있습니다.

 

필자는 여기서 그들의 세 다툼의 틈바구니 속에서 자칫 조상과 실관(失貫)(?)의 위기를 기우(杞憂)해 봅니다. 가령 우리 관을 뺐다고 항의했을 때 <언수(彦脩)의 제7자인데 아버지의 관(貫)을 따른 것이 무슨 잘못이냐> 한다면 우리는 할 말이 없는 것입니다.(?) 이것이「의미(毅味)」를 우리 善林의 중시조(관조)로 곧바로 수용하기 어려운 점이며「설(說)」로 남기게 된 마지막 이유인 것입니다.

 

그러나 최근의 발굴 자료인 김종직의『이존록』기록에 고려전기의 선산호장「임은영(林銀永)」이 나오고 고려 말에는 김종직의 부 김숙자의 족숙으로 스승인 임재(林載)가 나옵니다.『고려사』에도 공민왕 때「임영화(林永和)·보검(宝劍)」형제의 이야기가 나오며,『일선지』에도 고려 때「임자후(林自栩)」라는 인물의 기록이 있음으로 볼 때 임만(林蔓) 이전의 선산임씨 인물들의 존재가 명백한 이상 임의미(林毅味)조 이야기는 이제 설로서도 그 뜻이 없다할 것입니다.(왜냐하면 가공된 설이 틀림없기 때문입니다.)

 

pp016.jpg